공지사항
False Alarm, 어떻게 하나요?
페이지 정보
본문
False Alarm, 어떻게 하나요?
매장에서 슬쩍 물건을 훔치는 좀도둑을 막기 위해 점주가 할 수 있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매장 곳곳에 거울이나 CCTV 를 설치하는 것이 보편적입니다. 또 다른 방법은
EAS 라는 장치를 출입구에 설치해서 경보가 울리도록 하는 것입니다. 거울이나 CCTV 가
좀도둑이 훔치는 것을 비춰 줄 수는 있어도 스스로 경보를 울려주지 못하는 것에 비해
EAS 는 능동적으로 좀도둑을 색출해서 경보를 울려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런데 EAS 를 사용하는 분들에게 가장 불편한 상황이 있습니다. 그것은 물건을
훔쳐가는 좀도둑이 아닌데 EAS 의 경보가 울릴 때가 있다는 것입니다. 이런 현상을 False
Alarm 또는 오작동이라고 부르는데, 멀쩡한 손님을 좀도둑으로 몰 수 있는 EAS 의
치명적인 약점이 됩니다. EAS 가 경보장치로 가치를 발휘하려면 어떤 경우라도 False
Alarm은 반드시 제거되어야 합니다. False Alarm의 원리를 설명해 드리고, 숨어있는
원인을 찾고 제거하여 효율적으로 EAS 를 사용하실 수 있도록 도움 드리고자 합니다.
모든 False Alarm은 정상적인 경보와 마찬가지로 전자기파에 의해 일어납니다. 정상적인
경보는 물건에 붙인 Sensor Tag 에서 발생하는 전자기파로 인해 EAS 가 경보를 울리는
것이지만, False Alarm은 상품에 부착된 Sensor Tag 이 아닌 다른 물체에서 뜻하지 않게
발생하는 전자기파로 인한 것입니다. 그러면 왜 Sensor Tag 이 아닌 물체에서 전자기파가
생길까요? 크게 두 가지 이유 입니다.
첫째는 물체 자체에서 스스로 전자기파를 만들어 내는 경우입니다. 예를 들면
네온사인이나, CCTV 모니터 같은 물체는 자체가 주어진 작동을 하면서 부수적으로
전자기파를 발생하게 됩니다. EAS 는 특정한 범워의 전자기파에만 반응하도록 되어
있는데, 이런 물체들은 EAS 가 반응하는 특정한 범위의 전자기파를 포함해서 아주
광범위한 범위의 전자기파를 생산하기 때문에 False Alarm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런
물체들은 전원을 차단해 주면 전자기파가 생산되지 못하기 때문에 False Alarm이 생기지
않게 됩니다.
둘째는 물체 자체가 전자기파를 만들어 내지는 못하지만, 외부의 전자기적 충격에 의해
전자기파를 생산하는 경우입니다. 이것을 동조 현상이라고 하는데 외부의 전자기적
충격에 동조해서 전자기파가 만들어지기 때문입니다. 주로 철제 구조물이나, 구리 선이
많이 감긴 코일이 내장된 물체들에서 일어나는 현상입니다. EAS 와 함께 쓰이는 Sensor
Tag 도 실은 동조 현상을 이용한 것입니다. 외부에서 가해지는 전자기적 충격은 EAS 의
발신(Transmitter) 부분에 의해 만들어집니다. 주위에 있는 물체는 이것에 동조 현상을
일으키고 EAS 의 수신(Receiver) 부분이 특정한 전자기파를 감지함으로써 경보가 울리는
것이지요. Sensor Tag 은 EAS 의 수신 부분이 잘 감지하는 특정한 전자기파를 발생하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작은 크기임에도 EAS 의 수신 부분이 감지하는 영역에 맞는
전자기파를 효율적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에 반해 철제 구조물이나 코일은 EAS 에
맞는 전자기파를 발생하도록 설계되어 있지는 않기 때문에 Sensor Tag 에 비하여 낮은
효율로 동조 현상을 일으킵니다. 그러나 크기가 훨씬 크기 때문에 전자기적 충격을 크게
받게 되고, 낮은 효율임에도 EAS 가 감지할 만큼 강한 전자기파가 생산될 수 있고, 바로
False Alarm의 원인이 되곤 합니다.
동조 현상으로 생기는 전자기파를 아주 없앨 수는 없지만, EAS 에서 감지할 수 없을
정도로 약하게 만들 수는 있습니다. 그것은 EAS 와 충분한 거리를 띄워주는 것입니다.
거리가 멀어질수록 EAS 의 발신 부분이 만드는 전자기적 충격도 줄어들고, 동조 현상으로
생긴 전자기파도 약해지기 때문입니다.
간혹 충분히 거리를 둔 것 같은 Sensor Tag 이 False Alarm의 원인이 되곤 합니다. 이것은
각각의 Sensor Tag 은 충분한 거리에 떨어져 있더라도 여러 개가 합하여 전자기파를
만들어내면 EAS 의 수신 부분이 감지할 만큼 강할 수 있으며, 경보를 울릴 수 있다는 것을
기억하셔야 합니다.
여러 해 동안 본사가 경험한 사례를 종합해서 False Alarm의 원인이 되었던 물체의
종류와 각각 필요한 이격거리를 정리해 보았습니다. 모든 원인을 망라하였다기보다,
False Alarm으로 고생하시는 점주께서 False Alarm의 원인이 될만한 물체를 어떤
관점에서 찾으시고 식별할지 도움이 되길 기대합니다.
- 이전글RETAILER’S GUIDE FOR SHOPLIFTING PREVENTION 20.06.17
- 다음글당신의 수익을 10% 까지 좌악 늘리시겠습니까? 20.06.17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